기업의 입장에서 최저임금이 올라간다는것은 제품생산에 대한 요소비용의 상승으로 볼 수 밖에 없다. 이에 제품가격을 올리게 된다. 따라서 임금상승은 물가상승으로 귀결되고 말고 실질임금은 변함 없게 된다. 그 결과 최저임금인상안의 목적인 소비증대 및 경기 부양은 달성할 수가 없다. 그러나 단기적인 관점에선 이러한 제품가격 인상이 요소비용상승에 대응해서 즉각적으로 발생 할 수 없기 때문에 일시적으로는 소비가 촉진 되고 경기가 부양될 수는 있을 것이다.
'다양한 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인정보유출사고의 원인과 그 해결방안 (10) | 2012.06.29 |
---|---|
무기계약직의 확대 비정규직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인가? 아니면 임시방편인가? (1) | 2011.12.07 |
현대적 복지와 무상급식 (1) | 2011.08.17 |
반 값 등록금 (0) | 2011.06.12 |